VISWALK Modelling 3 Step
1단계: Network구축 면적에 제한이 없이 보행공간을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으며, AutoCAD로 구축된 설계도면을 Import하여 보다 정확한 보행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함.
2단계: Pedestrian특성설정 성별, 연령, 보행속도 등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하며 다양한 보행경로(최단, 최적, 우회경로) 선택이 가능함.
3단계: Analysis결과 운영자가 원하는 통행속도, 통행시간, 혼잡도, 밀도 등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는 정량적 결과(Excel)와 정성적 결과(Heat map)로 데이터 출력이 가능함. |
Flow Chart : VISWALK의 모델링구축 및 분석 흐름도
보행공간, 장애물, 층수, 3D모형 등으로 구축된 네트워크 내에 보행자의 특성(속도, 경로정보 등)을 입력한 뒤 다양한 분석지표(통행속도, 통행시간, 혼잡도 등) 선택 및 분석지역을 설정하여 분석이 진행됨. |
Function : VISWALK의 상세기능
VISWALK를 구성하는 기능은 크게 4가지(보행환경, 보행자 특성, 보행경로, 데이터 출력)의 카테고리로 분류 되며 각 세부 기능은 아래와 같음. |
Use cases : VISWALK의 활용방안
VISWALK의 활용방안으로는 이벤트계획, 역사계획, 대피계획, 시설계획, 교통계획 등이 있으며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음. |
이벤트계획
<경기장 이벤트 발생 시>
•VISWALK은 보행자 모델링을 통하여 콘서트, 축제, 올림픽게임 등 다중이 밀집되는 이벤트계획 시 보행자 행태 분석 가능
•보행자 밀집지역을 시뮬레이션으로 구현함으로써 사고위험 지역을 분석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안전요원 배치가 가능
•이벤트 장소의 용량 및 안전공간 평가 분석에 활용될 수 있으며 화장실, 상점, 출구 등으로 이동하는 최적경로 분석이 가능
역사계획
<지하철 역사 탑승 게이트 수에 따른 효과평가>
•보행자↔교통시뮬레이션 모듈 연계 상호작용 구현 가능
•열차의 배차간격에 따른 역사 내 밀도 변화 분석 가능
•열차의 용량 및 재차인원을 고려하여 수용인원에 대한 보행자 분석 가능
•지하철 역사 구축 시 열차 탑승 게이트 수에 따른 보행공간 혼잡밀도 분석을 실시하여 최적 게이트 수 분석 가능
대피계획
<호텔 내 화재 발생 시 건물 대피 시간 분석>
•건물, 경기장, 기타시설의 화재, 건물 붕괴와 같은 돌발상황 발생 시 최적의 대피경로 분석 시 활용 가능
•돌발상황 내 보행행태와 관련하여 잠재적 위험을 도출할 수 있어 사전대비 가능
•고층건물 및 터널에서 탈출경로, 비상탈출구의 위치에 따른 보행자 대피 시나리오 모델링 가능
시설계획
<서비스시설의 개수에 따른 처리 용량 분석>
•시설물 구축 시 발생되는 병목 현상 및 불필요한 장애물 선별 가능
•시설물 용량분석 및 효과적인 공간 활용방안, 건물설계 시 사용가능 한 바닥 면적, 사무실 공간의 최대 용량을 분석 가능
•빌딩, 역사 내 계단 및 에스컬레이터 등 보행시설 배치분석 가능
•공항, 매표소, 영화관, 지하철 요금소 등 고객응대 시설개수에 따라 미치는 지체시간, 통행시간 등 분석 가능
교통계획
<보행자 횡단 보도로 인한 교통 영향 분석>
•타 교통수단(지하철, 버스, 택시 등)과 연계한 네트워크적 분석 가능
•대중교통 연계 승·하차 시간, 인원에 따른 통행시간과 속도 분석 가능
•복잡한 교차로의 대기시간에 따른 신호시스템 효과분석 가능
•신호체계 개선에 따른 인근 교차로에 대한 지체도, 통과교통량 관련 파급효과 분석 가능
'Solution > Tomms W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ms Walk (0) | 2020.01.14 |
---|